본문 바로가기

기획서 작성기술/기획서 검증하기7

3C분석 방법 및 사례 보고서에 자주 사용되는 분석프레임은 단독으로 활용되기보다는 서로 종속적이면서 연관성을 가지게 됩니다. 그중에서 이번 포스팅은 미시환경을 분석할 때 자주 활용되는 3C분석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3C분석의 고객분석 결과 → STP분석의 시장세분화 및 목표시장분석에 활용 ‘미시관점의 환경’은 트렌드에 따라 변화되는 고객, 경쟁사, 자사와 같은 우리의 직접적인 시장환경을 의미하며, 이를 분석할 때는 대표적으로 ‘3C분석’을 활용합니다. 3C분석은 우리 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시환경 변화를 ‘고객(Customer), 경쟁사(Competitors), 자사(Company)’ 등 3가지 관점으로 구분해 분석하는 프레임입니다. 이런 분석을 통해 고객에게 경쟁기업보다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경쟁우위.. 2022. 4. 22.
PEST분석 방법 및 사례 PEST분석은 기획보고서, 사업계획서 등을 작성할 때, 기업의 의사결정이 필요한 시장성장과 축소, 사업 포지셔닝, 사업방향 등을 파악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컨설턴트들도 PEST분석을 자주 활용합니다. 보고서에 자주 사용되는 분석프레임은 단독으로 활용되기보다는 서로 종속적이면서 연관성을 가지게 됩니다. 그중에서 이번 포스팅은 거시환경을 분석할 때 자주 활용되는 PEST분석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PEST분석 결과 → SWOT분석의 외부환경요인인 기회와 위협 분석 시 활용 거시환경은 어떻게 분석할까요? 계속 강조하지만 익숙한분석 프레임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표적인 분석 프레임은 ‘PEST분석’입니다. PEST분석은 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거시적인 환경요인을 ‘정책적(Poli.. 2022. 4. 21.
경쟁현황분석 5-Force분석 방법 및 사례 보고서에 자주 사용되는 분석프레임은 단독으로 활용되기보다는 서로 종속적이면서 연관성을 가지게 됩니다. 오늘은 5-Force분석 방법 및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5-Force분석은 시장의 경쟁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사용합니다. 우리 기업이 신제품을 시장에 내놓아서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시장경쟁현황을 파악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죠. 5-Force분석은 ‘신규기업 진입위협, 기존 경쟁사 간 경쟁, 대체품 위협, 구매자 교섭력, 공급자 교섭력, 대체재 위협’ 등 5가지 관점으로 시장의 경쟁구도를 분석하는 프레임입니다 5-Force분석 결과 → 3C분석 중 경쟁자분석 시 활용되고, 이는 다시 STP분석의 포지셔닝분석 시 활용 5-Forces분석은 산업을 중심으로 분석하기 때문에 ‘산업구조분석’이라고 .. 2022. 4. 20.
가치사슬분석(Value Chain Analysis) 분석 방법 및 사례 보고서에 자주사용되는 분석프레임은 단독으로 활용되기보다는 서로 종속적이면서 연관성을 가지게 됩니다. 그 중에서 이번 포스팅은 내부환경을 분석할 때 자주 활용되는 가치사슬분석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가치사슬분석 결과 → 3C분석의 자사분석 시 활용되고 다시 SWOT분석의 내부환경요인인 강점과 약점 분석 시 활용 가치사슬분석(Value Chain Analysis)은 우리 기업의 내부환경을 분석하는 데 사용합니다. 기업의 내부활동을 세분화해 분석함으로써 강점과 약점을 도출해내는 프레임입니다. 내부환경은 말 그대로 기업 내부의 환경을 의미하며, 이를 분석하는 목적은 기업 내부의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는 데 있습니다. 내부환경분석을 통해 우리가 어느 부분은 잘하고 어느 부분은 못하는지를 파악해야만 차별화방향을 실현.. 2022. 4. 20.
SWOT분석 :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보고서에 자주사용되는 분석프레임은 단독으로 활용되기보다는 서로 종속적이면서 연관성을 가지게 됩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SWOT분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외부환경 분석을 통해 기회와 위협요인을 도출했고, 내부환경분석을 통해 우리의 강점과 약점도 도출했습니다. 머리를 쥐어짜서 정리했죠. 그런데 우리의 상사들은 아직도 배가 고픈가 봅니다. ‘그래서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지?’라고 질문을 던집니다. 우리가 상사와 식당에 갔을 때를 생각해 보죠. 상사는 뭘 먹을지 미리 정해놓고도 메뉴판을 보여주기 전에는 식사를 주문하지 않습니다. 마치 메뉴판을 통과의례라고 생각하나 봅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어제 과음을 했으니 해장할 수 있는 식당에 갑시다’, ‘날씨가 추우니 국물 있는 음식을 먹으러 갑시다’라고.. 2021. 6. 4.
시사점 작성 : 그래서 의미(So What)가 무엇인가? 구체화 작업을 통해 기술개발 아이디어도 도출했고 목표시장도 도출했는데 우리의 상사들은 ‘그래서 의미가 뭐야?’라고 합니다. 우린 지금까지 열심히 분석하여 정보가 너무 많고 상당히 복잡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종합적인 해석’입니다. 우리가 개별적으로 분석했을 때와 달리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미처 못 봤던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상사가 원하는 것은 종합적인 해석입니다. 그럼 어떻게 ‘종합’하면 될까요? 바로 ‘분석 프레임’에 따라 재정리해야 합니다. 분석 프레임은 종합적인 검토에 최적화된 도구니까요. 우리의 상사들은 이미 기획의 달인입니다. 그렇기에 머릿속에 분석 프레임이 사고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우리의 목적은 기획서로 설득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상사의 사고방식에 맞춰야 합니다. 이럴 때 우리.. 2021. 6.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