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서 작성기술/기획서 작성 자세5

기획서 종류에 따른 설득 대상 이해 직장인들이 많이 작성하는 보고서, 기획서는 기업에서 꼭 필요한 문서입니다. 일상 생활에서는 설득할 사람이 많이 없기 때문에 굳이 문서가 필요없지만 회사에서는 필요하죠. 그럼, “기획”이란? 무엇일까요? 사전적으로는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행해야 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어렵죠. 쉽게 말하면 "내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상대방을 설득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 “기획서”란? 무엇일까요? 기획(설득의 과정)을 담아낸 문서 입니다. 기획서의 본연의 목적은 설득이기 때문에 핵심만 정리하고 어려운 공식과 도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런 공식과 도구는 기획서를 좀 더 돋보이게 만드는 조연일 뿐입니다. 그러니 기획서?? 어렵게 생각하지 맙시다. ^^ 기획서는 설득하는 문서이기 때문에 설득대상에 .. 2022. 3. 9.
기획서 읽기 쉽게 만드는 방법 기획서를 읽기 쉽게 만들기 위해서는 읽는 데 ‘편안함’을 줘야 합니다. 마치 집에 있는 침대 위에 누워서 책을 보는 듯한 편안함 말이죠. 집, 침대는 편안함과 동시에 ‘익숙함’을 줍니다. 즉, 우리는 익숙할 때 편안함을 느끼게 됩니다. 기획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여기서는 기획서를 읽을 때 편안함을 주는 구조적 관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레이아웃 통일하기 기획서를 구성할 때는 미리 기본적인 레이아웃을 정해놓고 그 레이아웃에 맞춰 기획 재료들을 배치해야 합니다. 우리 상사들에게 가장 익숙한 레이아웃은 다음 사례처럼 제일 상단에 각 페이지의 제목을 담고, 그 밑에 핵심 주장(헤드 메시지)을 담고, 그 밑에 핵심 주장에 대한 근거, 배경, 부연설명 등을 담는 ‘3단 구성(제목→헤드 메시지→본문)’입니다. 3단 .. 2021. 5. 26.
기획서 작성 | 기획서 보기 쉽게 만드는 방법 본격적으로 기획서를 보기 쉽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소개팅을 한다면 대화를 나누기 전에 상대방의 옷차림, 머리 스타일, 자세 등의 첫인상으로 상대를 판단하게 됩니다. 첫인상이 좋다면 호감을 갖게 됩니다. 기획서도 첫인상이 좋아야 합니다. 단순하게 만들기 단순화 방법 ① : 나만의 색상 팔레트 만들기 기획서 분량이 많아지다 보면 색상이 뒤죽박죽 되기 십상입니다. 이럴 때 파워포인트에 자신만의 색상 팔레트를 만들어 두고 [서식 복사] 기능을 이용해서 자료를 작성하면 기획서의 색상을 전체적으로 일관성 있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제가 주로 사용하는 색상 팔레트입니다. (개인 취향) 단순화 방법 ② : 여백의 미 활용하기 기획서 1페이지에는 너무 많은 내용을 담지 않는 것이 좋습니.. 2021. 5. 24.
기획서 가독성 높이기 우리 상사(경영진)들은 긴 글을 읽기 싫어하고, 시간이 없고, 설득당하기 싫어합니다. 그러니, 우리는 핵심만 정리하여 짧은 시간에 설득해야 합니다. 짧은 시간에 설득하려면 우리는 기획서 검토자(경영진, 발주처 등)를 ‘읽는 사람(독자)’보다는 ‘보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기획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또 다른 방법은 ‘가독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가독성이란 ‘얼마나 쉽게 읽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읽기 쉽게 만든 기획서라도 보기 싫게 만들면 설득하기 어렵습니다. 우리가 만화책을 좋아하는 이유와 같죠. 만화책은 재미있는 그림과 핵심 문장으로 메시지를 만들어 우리에게 설득력 있게 전달하니까요. 결국 설득력이 높은 기획서의 관건은 ‘얼마나 보기 쉽고 읽기 쉽냐’가 됩니다. 기획서 보기 쉽게 .. 2021. 5. 24.
기획자 마인드 만들기 제가 집필한 책이 드디어 출간되었습니다. 초급 기획자가 기획서, 보고서, 제안서 등을 잘 작성할 수 있도록 만든 책입니다. 책 내용을 정기적으로 포스팅하겠습니다. 상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기 기획서의 최종 목적은 ‘설득’입니다. 아무리 질 좋은 기획서라도 설득에 실패하면 휴지통으로 직행합니다. 우리가 힘들게 작성한 역작 기획서가 휴지통으로 가게 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기획서를 만들 때 ‘상사라면 이럴 때 어떻게 했을까?’를 계속해서 고민해야 합니다. 이럴 때는 상사를 ‘파트너’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상사와 파트너가 되어 같이 의논하고 고민해야 합니다. 초급 기획자의 가장 큰 실수가 바로 상사와 의논을 하지 않는다는 데 있습니다. 기획 초보자일 때는 아이디어, 논리구조 등 모든 면에서 기획력이 부.. 2021. 5.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