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창업자에게 유용한 정보24 신입직원이 알아야 할 '대학생에서 직장인'으로의 스무스한 전환 팁 대학생에서 직장인으로의 전환이 쉽지 않습니다. 특히, 신입직원으로서 처음 회사에 들어가는 그 순간, 모든 것이 새롭고 낯설게 느껴질 것입니다. 이 글은 그런 신입직원들이 회사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팁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대학생활과 직장생활의 기본적인 차이 • 자유도: 대학생활은 개인의 선택에 따라 수업에 참석하거나 시간표를 조정할 수 있지만, 직장생활은 주어진 시간과 장소에서 규정된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 책임감: 대학에서는 개인의 성적과 발전이 주요 관심사이지만, 회사에서는 팀과 회사의 성과를 위해 개인의 책임감이 요구됩니다. • 협업: 대학에서는 대부분의 과제를 혼자 해결할 수 있지만, 회사에서는 다양한 부서와의 협업이 필수적입니다. 회사에서의 첫날,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 옷차.. 2023. 10. 25. 비즈니스모델 실무 [2/5] 얼마 전에 창업자를 대상으로 해서 "비즈니스모델 실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하였습니다. 강의 내용을 정리해서 올릴 예정입니다. 전체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비즈니스모델 이란? 2. 비즈니스아이디어 발굴 전략 3. 린스타트업 전략 4. 비즈니스모델 캔버스 5. 비즈니스모델 사업계획서 작성법 이 중에서 이번 포스팅은 "2. 비즈니스아이디어 발굴 전략" 내용을 정리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모쪼록 도움이 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비즈니스 아이디어 발굴 방법 비즈니스 아이디어는 내가 원하는 아이템이 아니라, 시장이 원하는 아이템이어야 합니다. 2. 비즈니스 아이디어 발굴 전략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발굴할때는 (1) 창의적 사고방식을 갖고, (2) 시장이 필요한 것을 찾고(Needs), (3) 시장이 원하는.. 2022. 11. 14. 비즈니스모델 실무 [1/5] 얼마 전에 창업자를 대상으로 해서 "비즈니스모델 실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하였습니다. 강의 내용을 정리해서 올릴 예정입니다. 전체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비즈니스모델 이란? 2. 비즈니스아이디어 발굴 전략 3. 린스타트업 전략 4. 비즈니스모델 캔버스 5. 비즈니스모델 사업계획서 작성법 이 중에서 이번 포스팅은 "1. 비즈니스모델 이란?" 내용을 정리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모쪼록 도움이 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비즈니스 모델의 정의 비즈니스모델을 다양한 정의를 가지고 있는데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비즈니스 모델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소비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고, 어떻게 마케팅하며, 어떻게 돈을 벌겠다는 아이디어 – 사전적 의미 - 기업이 고객을 위한 가치를 어떻게 창조해 .. 2022. 11. 12. 정부지원사업 발표평가 준비하기 서면평가가 끝나면 대면평가를 준비해야 한다.. 보통 대면평가는 발표평가로 진행된다. 코로나19 시국에는 비대면으로 실시하였는데 이제는 대면방식으로 바뀌는 추세이다. 비대면 방식이 좋다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필자의 경험상 비대면 방식보다는 대면방식이 발표자에게는 더 좋다. 비대면 방식은 발표영상을 촬영해서 제출하는 형태로 평가위원들은 해당 시간에 발표영상을 시청 후 질의서를 작성하고 다시 발표자에게 전달하여 답변받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말(질문 & 답변)을 글(문서)로 바꾸면서 생동감이 없어진다. 대면발표에서는 평가장 분위기와 생동감으로 느낌이 있다. 비대면은 이런 느낌을 반감시킨다. 그래서 질문지의 글들은 감정이나 분위기에 호소가 아닌 딱딱한 분위기가 조성된다. 이 책을 읽은 정부지원사업 초보자들은 글로.. 2022. 10. 30. 스타트업이라면 알아야할 용어 정리 스타트업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스타트업은 ‘설립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신생 조직 또는 기업으로서 자체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 임시적인 작은 그룹이나 프로젝트성 회사’라고 합니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비즈니스 모델을 검증하기 위한 임시적인 조직’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스타트업은 창업과 구분됩니다. 스타트업 기간에는 창업 아이템이 진정 돈을 벌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기간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그러니, 스타트업 기간에는 비즈니스를 검증하고, 검증이 되었다면 "사업자등록, 자금 투자, 사무실(공장) 설립 등"을 통해 창업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창직 창직이란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기존에는 없는 직업이나 직종을 새롭게 만들어 내거나 기존의 직업을 재설계하는 창업 활동을 말합니다 BE.. 2022. 10. 22. 창업아이템 선정하는 방법 일단 창업은 돈을 벌기 위한 것이다. 그러니 창업아이템은 돈을 벌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럼 돈을 벌수 있는 창업아이템은 무엇일까? 기업에게 영향을 미치는 3요소만 기억하자. 바로 3C 관점이다. 3C는 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시환경 변화를 ‘고객(Customer), 경쟁사(Competitors), 자사(Company)’ 등 3가지 관점으로 구분해 분석기법이다. 기업에서 사업성을 분석하는데 자주 활용되는 기법이다. 구분 의미 아이템 발굴 고객 (Customer) 고객이 내 제품(서비스)를 구매를 해줘야 돈을 벌 수 있다. 고객이 원하는 아이템여야야 한다. 자사(Company) 제품(서비스)를 만들어야 돈을 벌 수 있다. 내가 좋아하는 아이템이여야 한다. 경쟁사 (Competitors) 경쟁이.. 2022. 10. 4.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