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업자에게 유용한 정보35

창업기업, 중소기업(7년미만)에게 적합한 정부지원사업 목록 2021년도 말에 창업, 초기 중소기업에 적합한 정부지원사업 조사한 내용입니다. 대부분 매년 지속되는 사업이기 때문에 도움이 될까하고 올려봅니다. (2021년 기준으로 작성되었음) 사업명 (기관명) 사업개요 지원자격 지원분야 청년 사관학교 우수 창업자를 발굴하여 창업 사업화 등 창업 全단계를 패키지 방식으로 일괄 지원 만 39세 이하, 창업 후 3년 이내 창업기업 대표자 인프라, 교육, 코칭, 기술지원 사업비지원 등 초기창업 패키지 창업아이템을 사업화 할 수 있는 자금과 아이템 실증검증 등 기업의 안정화와 성장을 지원 창업 3년 이내 기업 사업화자금 (시제품제작, 마케팅 등) 창업기업 마케팅지원 창업기업 제품의 온라인 홍보, 컨텐츠 제작, 기업 이미지, 상표의 브랜드 패키지 개발 등 창업 7년 이내 기업.. 2022. 8. 25.
정책, 산업분석할 때 : 프리즘, 국가정책연구포털 활용하기 이번 시간에는 산업분석을 할 때 유용한 사이트로 정책연구보고서를 제공하는 프리즘과 국가정책연구포털이라는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리즘(https://www.prism.go.kr/)은 정부기관인 행정안전부에서 정부기관에서 발간한 정책보고서를 모아서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국가정책연구포털(https://www.nkis.re.kr:4445/main.do)은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 연구회에서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의 정책, 세미나 등 발간한 보고서를 모아서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그럼, 왜 우리가 산업분석을 하는데 정책보고서를 참조하는 것이 좋은지 설명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4차산업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한다면 4차산업에 대한 배경, 필요성, 동향, 분석 등을 기본적으로 수행하고, 정책 대안을 수립하.. 2022. 8. 13.
창업자가 알아야 할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활용 가이드 정부 정책자금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사이트가 NTIS입니다. 과제정보, 과제등록 등 모든것을 한눈에 볼 수 있죠.. NTIS(https://www.ntis.go.kr/) 는 사업, 과제, 인력, 성과 등 국가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정보를 한 곳에서 서비스하는 국가과학기술 지식정보 포털임 - 부처별(기관별)로 개별 관리되고 있는 국가 R&DR&D 사업 관련 정보와 과학기술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 활용해, 국가R&D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연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주목적임 □ NTIS 주요 서비스 ㅇ 국가 R&D정보, 과학기술 지식정보, 연구데이터 등을 제공함 - 사이트 내 통합검색뿐만 아니라 국가 R&D 전주기,R&D전주기 과제참여/관리, 연구자 정보, 연구기관정보, 연구개발성과정보,.. 2022. 6. 11.
사업화 자금 확보를 위한 크라우드 펀딩 이해 창업자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단연 자금입니다. 하지만, 이제 막 창업한 기업은 실적이나 재무구조상 외부로부터 자금을 투자받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창업기업이 자주 애용하는 방법이 크라우드 펀딩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후원 형태로 제품이 나오기 전에 제품을 홍보하고, 사전 구매를 유도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되죠. 사전 구매를 하면 제품을 양산할 수 있는 운영자금이 확보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크라우드 펀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크라우드 펀딩 개요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은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한다는 뜻으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지닌 창업자가 온라인상에서 중개업체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소액 투자자로부터 사업 자금을 지.. 2022. 6. 10.
창업기업의 사업 기획 절차 이해 이번 포스팅은 기업의 사업화 기획 절차를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예전에 작성한 자료인데요.. 초점은 기업의 사업화 컨설팅을 위해 만들었는데 기업에서 사업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포스팅합니다. 총 4개 파트(비즈니스모델 수립, 사업타당성분석, 실행계획 수립, 사업화 자금 확보)로 구분되며, 기업의 상황에 맞추어 진행하면 됩니다. 기본 BM 수립 절차 1-1. 사업계획서 검토 활동 · 기존 사업계획서를 수집하여 검토하는 단계 자료 · R&D 과제 사업계획서 1-2. 보유 자료 분석 활동 · 보유한 타깃 시장의 산업동향자료(시장동향, 기술트렌드 등)와 기관의 역량 관련 자료를 수집·분석하는 단계 자료 · 타깃 시장의 산업동향자료, R&D 수행기관이 보유한 기술 현황, 인프라 구축 현황 등 내부.. 2022. 6. 9.
성과지표(CSF, KPI) 용어 정리 기업을 경영할 때 제대로 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성과관리를 해야 하는데, 이때는 지표를 가지고 성과를 관리해야하죠. 대표적인 성과관리 지표로 불리는 CSF, KP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CSF(Critical Success Factor. 핵심성공요인) 2.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 CSF(Critical Success Factor. 핵심성공요인) 최종 목표 달성을 확인할 수 있는 성공요인이라고 하기도 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전략이라고 말합니다. 회사에는 항상 자원이라던가, 시간이 한정적이죠. 그러니 한 번에 모든 전략을 추진하기 어렵습니다. 이럴 땐 우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핵심적으로) 달성해야 할 요인(전략)을 선정하고 추진해야.. 2022. 3.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