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5

정책, 산업분석할 때 : 프리즘, 국가정책연구포털 활용하기 이번 시간에는 산업분석을 할 때 유용한 사이트로 정책연구보고서를 제공하는 프리즘과 국가정책연구포털이라는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리즘(https://www.prism.go.kr/)은 정부기관인 행정안전부에서 정부기관에서 발간한 정책보고서를 모아서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국가정책연구포털(https://www.nkis.re.kr:4445/main.do)은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 연구회에서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의 정책, 세미나 등 발간한 보고서를 모아서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그럼, 왜 우리가 산업분석을 하는데 정책보고서를 참조하는 것이 좋은지 설명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4차산업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한다면 4차산업에 대한 배경, 필요성, 동향, 분석 등을 기본적으로 수행하고, 정책 대안을 수립하.. 2022. 8. 13.
산업분석 | 시장 분석하는데 꼭 필요한 무역통계분석은 유용한 사이트 소개(KOTRA) 산업분석을 할 때 꼭 해야하는 무역통계분석 유용한 사이트로 무역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코트라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트라(https://www.kotra.or.kr/)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로 우리나라의 수출/수입과 관련된 무역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정부기관입니다. 무역정보는 취업을 준비하는 취업준비생뿐만 아니라 기업 실무에서도 유용한 자료입니다 예를 들어 취업을 지원하는 회사가 특정국가에 수출이 집중되어 있다라고 한다면 그 국가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기업에서 필요한 인재로 인식될 것입니다. 무역통계가 전체적인 시장을 대표할 수는 없지만 그 나라의 어느 정도가 수출되고 수입되는지를 안다면 시장을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죠. 특히 실무에서는 회사가 어떤 국가로 진출할 것이냐 아니면 어떤 아이템으로.. 2022. 8. 11.
기업분석할때 유용한 사이트 : 중소기업로드맵 이번 포스팅은 기업 분석할 때 이용한 사이트로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이라는 사이트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중소기업들에게 유망산업, 기술에 대한 동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이트입니다. 우리가 주목할 것은 이 사이트의 보고서들은 여러 전문가들이 심혈을 기울여 만들어 놓은 정보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기업분석을 할때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제품과 서비스가 미래 유망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산업 트렌드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많이 분석을 합니다 그 이유는 뭐냐면 산업이 어떤 발전을 해야 그 밑에 있는 기업이 하는 제품과 서비스가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에 대한 트렌드를 분석하는 경우가 많아요 우리가 일일이 다 조사해서 정리하는 것은 시간도 없고 시간도.. 2022. 8. 7.
강의 - 기술사업화 업무 및 직업 소개 2022년 8월 2일 한국세라믹기술원의 "이공계전문기술연수사업" 연수생들을 대상으로 "기술사업화"라는 주제로 강의를 하고 왔습니다. 강의 일정 : 8월 2일 오후 1시~5시(4시간) 교육 대상 : 이공계전문기술연수사업 연수생 강의 내용 : 기술사업화 개론 및 이해 강의 내용은 이공계 전공자들은 학교를 졸업한 후 당연하듯 제조업의 R&D, 생산관리, 품질관리, 기술영업 직무를 선택하고 구직활동을 합니다. 하지만, 이공계 전공지식으로 취업할 수 있는 특허출원, 특허분석, 기술사업화, 산업정책 등의 직무로도 취업을 할 수가 있는데 많은 친구들이 모르더군요. 이런 직무를 기술사업화 직무라고 하는데요. 이런 직무들의 특징은 사무직이고, 매번 공부를 하고, 기업들은 주로 서울, 수도권에 위치해 있다는 것입니다. 안.. 2022. 8. 6.
패시브인컴 중 하나인 전자책 쓰기와 크몽, 탈잉 등록하고 판매하기 패시브인컴 중에 하나인 전자책 쓰기를 드디어 완료하고, 크몽, 탈잉에 판매 등록을 하였습니다. 작년도 아픈 경험을 뒤로하고 시도하여 완성했습니다. 저의 경우 책쓰기를 POD 출판을 처음으로 기획출판(1권 출간 완료, 1권 출간 예정)을 한 후 전자책을 시도한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전자책은 쉽게 말해 ISBN 번호가 없이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문서를 말합니다. 오늘 포스팅은 전자책 주제 정하기부터 판매 등록까지의 경험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전자책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네요.. 1. 전자책 주제 정하기 저도 전자책 주제를 정할 때 많은 유튜브, 블로그를 살펴봤습니다. 1주일이면 전자책을 쓸 수 있다. 하루 만에 완성된다. 등 다양한 의견들이 있는데 이야기들의 공통된 주제 정하는 방법.. 2022. 7. 31.
[취업 성공전략] 기업분석 ! 이것만 보면 된다. (검색사이트 추천) 기업분석을 할 때 가장 애먹는 부분이 바로 기업정보를 어디서 조사하느냐이다. 상장기업은 큰 어려움이 없지만 비상장기업 정보는 파악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여기서는 비상장기업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알아보겠다. 물론 무료로 검색하는 방법이다 보니 정보의 한계성은 존재함을 감안하자. 우선, 비상장기업들은 모두 중소기업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지 않다. 상장기업들은 주식을 거래하는 코넥스, 코스닥, 코스피 등에 상장을 한 기업을 말한다. 이중에는 중소기업도 있다.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것은 기업의 선택이다. 중소기업이든 대기업이든 외부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려는 기업은 주식시장에 상장을 한다. 반면 외부자금 없이 자체적으로 기업을 운영하는 기업은 상장을 하지 않는다. 그러니 상장 여부에 따라 좋.. 2022. 7.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