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7

업무소개 - IP-R&D 업무 업무 소개한국특허전략개발원(www.kista.re.kr)에 따르면 IP-R&D(Intellectual Property-Research Development)는 우수한 IP 포트폴리오를 확보하여 기술획득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연구개발(R&D) 결과물을 바탕으로 특허를 출원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특허가능성을 염두에 두지 않은 양적 위주의 특허를 획득하게 되는 단점과 경쟁기업으로의 지식재산(IP) 공격을 방어하는 측면이 많았다. IP-R&D는 연구개발(R&D)에 앞서 우수한 특허포트폴리오를 구축한 후 연구개발(R&D)을 수행함으로써 돈 되는 강한 특허의 선점이 가능하고 경쟁 기업의 공격, 방어 등 다양한 전략 실행이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다. 쉽게 말하면 기존에는 연구개발(R&D)의 결.. 2021. 1. 22.
내안의 텃밭 - 준비하기 두번째글첫 번째글을 쓰고 내안의 텃밭이란 제목을 몇 번이고 쳐다보왔습니다. 참 제목을 못 만드네요.. 세련미도 없어보이고 철학적이지도 않고 그렇다고 다른 제목도 떠오르지 않네요. 아직은 글쓰기 초보인가봅니다. 여하튼 두번째 글을 써봅니다. 텃밭을 가꾸려면 준비가 필요합니다. 우리가 출근을 위해 아침에 일어나고, 옷도 입고, 준비물도 챙겨서 매일 집에서 나오는 것처럼요. 텃밭을 가꾸는 것도 준비가 필요합니다. 지난번 밑거름도 그 중 하나죠. 텃밭을 갈고, 퇴비를 주고 비닐 멀칭까지 해주었으면 다음 준비 작업은 어떤 작물을 기를지 선택하는 것입니다. 그래야 심을수 있으니까요. 저도 이 단계에서 참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가끔 꿈도 꾸죠. 머리만한 감자를 수확하거나 야채가게에 모든 작물을 길러서 주변 사람들에.. 2021. 1. 21.
업무소개 - 특허정보 분석, 특허분석사 업무 업무 소개특허정보 분석은 특허정보를 기반으로 목적에 따라서 분석하는 업무로 활용 목적이 특허출원 전략, 신제품/신기술 개발 전략, 정부의 산업정책 수립 등 매우 다양하다. 그 쓰임이 다양하고 분석 기법도 다양하지만, 지식재산비즈니스 컨설턴트의 필수적인 업무라고 할 수 있다.특허정보를 분석하는 목적을 보면 크게 기술개발을 위한 분석, 특허출원을 위한 분석, 특허 분쟁을 위한 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 ① 기술개발을 위한 분석은 연구단계에 따라 2가지로 구분되는데 연구기획 단계에서는 연구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경쟁사들과의 중복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하며, 연구개발단계에서는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연구개발에 반영하는 데 있으며, 타사의 기술개발 동향을 파악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② 특허 출원을 위한 분석은.. 2021. 1. 21.
내안의 텃밭 - 직장인에게 텃밭이 필요한 이유 요즘 글쓰기 매력에 푹 빠져있어 회사에서 짬내여 끄적끄적합니다. 제목을 보면 무슨 텃밭가꾸기에 대해 쓰는 글 같네요. 저는 2년전부터 주말농장을 합니다. 농장이라고 하니 거창한데 약 6평 정도되는 조그마한 텃밭이죠. 하면서 겪은 체험이 마치 직장인의 삶과 같더군요. 직장인의 삶과 비추어보면 재미있는 주제가 되지 않을까 해서 키보드 자판에 열손가락을 올려봅니다. 3개월 후면 직장생활을 한지 만 15년이 되는군요. 참 오래도 했네요. 지난 삶은 되짚어보면 빨리, 빨리, 빨리 뿐이 없더군요. 빨리가 나의 직장인 자세의 필수 덕목인줄만 알고 살았죠. 그러나 우연찮게 시작한 텃밭생활에서는 기다림, 기다림, 기다림이더군요. 빨리, 조급하게 작물을 대하면 새싹이 안 오르거나, 열매가 안 열리거나 해서 실패로 이어지는.. 2021. 1. 20.
업무소개 - 특허출원, 특허명세사 업무 소개 특허출원이란, 국가 기관인 특허청에 대하여 특허등록이라는 행정처분을 구하기 위하여, 특허출원서와 특허명세서를 제출하는 신청행위를 말한다. 특허명세서란 발명의 내용을 공개하는 기술설명서 역할과 권리의 내용을 정하는 계약서 역할을 동시에 한다. 법적 근거로는 특허명세서는 발명의 설명 및 특허 청구범위를 포함(특허법 제42조 제2항)하고 있으며 발명의 설명은 발명의 명칭, 기술 분야, 배경기술, 발명의 내용,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내용을 포함(특허법 제42조 3항 및 9항)하고 있다. 즉, 특허명세서의 구조는 법으로 정해져 있으며 변리사를 도와 특허명세서를 전문으로 작성하는 인력을 특허명세사라고 한다. 특허명세사는 특허명세서를 작성하는 것이 주 업무이며 특허명세서 작성은.. 2021. 1. 20.
지식재산비즈니스 컨설턴트 이해하기 “기술사업화”란 “기술(또는 지식) 등 무형자산을 기반으로 생산과 영리 목적의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반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술사업화를 실현하는 지식재산비즈니스는 지식재산 창출부터 사업화까지의 전반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활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인력을 “지식재산비즈니스 컨설턴트”라고 한다. 지식재산비즈니스 컨설턴트의 업무 범위는 매우 다양하다. 쉽게 설명하면 “기업의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기업의 연구개발(R&D) 기획부터 지식재산(IP) 확보, 사업화 성공까지 전 주기를 지원하는 전문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식재산비즈니스 컨설턴트의 영역은 앞서 지식재산서비스 분야 중에서 IP 분쟁 등 변리사의 전문 영역은 제외되며, 기업의 경영 구조를 이해하고, 비즈니스모델링, 사업 타당성.. 2021. 1. 19.
반응형